본문 바로가기
영혼의 숲

싯다르타

by 풀꽃* 2021. 3. 22.

                         

 

                         인간은 왜 순간의 쾌락을 위하여 진정한 깨달음의 기회를 놓치는 걸까?
                         내 마음의 치유자는 나 자신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 마음이 편안해진다.
                         치유자는 전문가이자 지식인이고

                         환자는 그의 처분을 기다리는 수동적인 상태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렇게 자기 내면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 내면의 여정을 관찰하고

                         기록할 만한 여유를 가질 수 있다면, 이미 치유의 열쇠는 쥐고 있는 것이다.
                         나 자신의 차유자는 나일 수밖에 없다.

                         흥미롭게도 싯다르타는 카말라를 사랑의 대상이라기보다는

                         배움의 대상으로 생각한다.
                         장안의 유명한 기생이었던 카말라에게 사랑의 기술을 가르쳐 달라고 부탁한 것이다.
                         카말라는 거지와 다를 바 없는 초라한 행색의 남자가 다짜고짜 자신에게

                         스승이 되어 달라고 하니 어처구니가 없었지만, 동시에 호기심도 생겼다.
                         그녀를 찾아오는 남자들은 하나같이 그녀의 육체를 욕망의 대상으로 여겼다.


                         금은보화로 그녀의 환심을 사서 결국 그녀와 하룻밤을 보내는 것이

                         흔해빠진 남자들의 유혹 방식이었지만
                         하지만 싯다르타는 카말라를 완전한 인격체로 대접했다.
                         모두가 유혹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그녀를

                         배움의 대상으로 우러러보며 스승으로 삼고자 한다.
                         이런 싯다르타의 진솔한 모습에 내심 감동한 카말라는 그에게 진심으로 충고한다.
                         자신을 찾아오는 남자들은 아름다운 옷을 입고, 멋진 신발을 신고

                         지갑에는 두둑이 돈을 넣어 가지고 온다고.
                         당신처럼 아무런 준비 없이 가진 것이라고는 오직 몸뿐인 사람들은

                         자신의 사랑을 얻을 자격이 없다고 하자

                         싯다르타는 순진하게도 카멜라에게 묻는다.


                         어떻게 하면 돈을 벌 수 있느냐고 하자 카말라는 할 줄 아는 일이 뭐냐고 되묻는다.
                         이에 싯다르타의 대답이 참으로 해맑기 그지없다.
                        "나는 사색할 줄을 아오" 나는 기다릴 줄을 아오" 나는 단식할 줄을 아오."
                         사색하기, 기다리기, 단식하기. 끊임없이 자신의 욕망을 미루고, 끊어내고,

                         부정함으로써 그는 세상을 향한 집착에서 해방되는 법을 배웠다.
                         그는 그렇게 세상과 멀어졌으며,

                         세상을 멀리서 관조하는 법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단련해왔다.
                         하지만 그런 지혜로는 돈을 벌 수 없다는 것조차 그는 모른다.
                         돈을 벌어야 한다는 생각조차 완전히 잊고 살았던 것이다.

                         기가 막힌 카말라는 싯다르타에게 묻는다.
                         정말 그것밖에 할 줄 아는 것이 없느냐고 묻자, 싯다르타는 시를 지을 줄 안다고

                         자신이 아름다운 시를 지어준다면 입맞춤을 해줄 수 있느냐고 하자

                         카말라는 "시가 마음에 든다면"이라는 단서를 붙인다.
                         싯다르타의 꾸밈없는 마음이 빚어낸 아름다운 사랑의 즉흥시는

                         기어이 그녀를 감동시키고, 그녀의 입맞춤은 한 번도 여자와 키스를 해본 적 없는

                         순진한 싯다르타의 마음을 완전히 빼앗고 만다.

                         가족과 친구 외에, 그리고 배움과 수행 외에 처음으로 애착의 대상을 가지게 된 것이다.
                         사랑이 인간에게 가장 끔찍한 번뇌의 근원이라는 것을

                         순진한 싯다르타는 아직 몰랐던 것일까?
                         그는 투우사에게 돌진하는 소처럼 그렇게 사랑을 향해 아름다운 여인을 향해 돌진한다.

                         사랑에는 아직도 여전히 어린아이에 불과한 그에게 맹목적이고도 물릴 줄을 모른 채

                         마치 바닥이 없는 심연 속으로 뛰어들 듯 쾌락의 늪 속으로 뛰어드는 그에게

                         그녀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가르쳐주었다.
                         사람은 누구나 쾌락을 주지 않고서는 받을 수 없으며, 몸짓 하나하나,

                         어루만짐 하나하나, 접촉 하나하나, 눈길 하나하나가 모두 제각기 비밀을 지니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 비밀은 자극받아 깨어나면 그 비밀을 아는 사람에게 아무 때라도

                         행복감을 안겨줄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헤세로 가는 길> 중에서 가장 감명 깊었던 내용.

 

                         

'영혼의 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월  (0) 2021.05.28
빛을 지으신 하나님  (0) 2021.03.29
입춘  (0) 2021.02.02
데미안  (0) 2021.01.27
새해 단상(2)  (0) 2021.01.16

댓글